본문 바로가기
JAVA(폐쇄)/문제풀이

BEACK JOON(백준) 11021번 A+B-7

by 진사담 2023. 3. 8.
728x90
반응형

이번에 풀어볼 문제입니다.

 

학원에서 백준 문제 보다가 재밌어 보여서 풀어봤습니다.

 

import java.util.Random;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
		System.out.println("케이스의 개수 : ");
		int number = sc.nextInt();

		for (int i = 1; i <= number; i++) {

			System.out.println("A의 값을 입력하세요 : ");
			int A = sc.nextInt();
			System.out.println("B의 값을 입력하세요 : ");
			int B = sc.nextInt();
			System.out.println("Case #" + i + " " + (A + B));
		}
		sc.close();
	}
}

정답 코드입니다.

 

 정답 결과는

 

위와 같이 나옵니다.

 

하지만

 

처음에

제가 문제 풀다가 실수한 부분들이 있었는데

 

import java.util.Random;
import java.util.Scanner;
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
		System.out.println("케이스의 개수 : ");
		int number = sc.nextInt();

		for (int i = 0; i <= number; i++) {

			System.out.println("A의 값을 입력하세요 : ");
			int A = sc.nextInt();
			System.out.println("B의 값을 입력하세요 : ");
			int B = sc.nextInt();
			System.out.println("Case #" + number + " " + (A + B));
		}
		sc.close();
	}
}

위와 같이 int i= 0; 과 

System.out.println("Case #" + number + " " + (A + B)); 에 i가 아닌 number를 넣어 

결과 값이 이상하게 나왔습니다.

 

위와 같이 케이스 번호가 개수의 숫자를 따라간다는거 였죠..

 

그래서 바꿔 보고 바꿔보고 하다보니 number가 잘못된걸 깨달았씁니다.

 

 

또. 마지막에 sc.close();를 안써도 되지만

아래 저의 링크를 보시고 꼭 쓰는 습관을 만드셔야 합니다!

 

https://hobby-it-learn.tistory.com/5

 

 

 

그리고 재미삼아 Random();값으로 결과도 도출 해봤습니다.

이건 A에만 따로 값을 주고 B는 랜덤으로 받았습니다.

 

요건 둘다 랜덤값으로 받아봤습니다.

728x90
반응형